티스토리 뷰

반응형
pem키 없이 AWS 라이트세일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지 찾아보다가  EC2 서버로의 접속만 있어서 이곳저곳 자료를 찾아보고 정리를 해보았다. Key 없이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에 ssm 에이전트가 설치되어야하고 System Manager를 사용해야 한다

작업 환경

- ubuntu 20.04 LTS

 

1. SSM 에이전트 구동 확인

서버를 구축하면 ssm agent가 이미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행 중인 agent를 멈추고 /etc 경로 밑에 ssm agent 실행에 필요한 파일들을 옮겨야 한다.
 

2. SSM 에이전트 관련 파일을 /etc/amazon/ssm 에 이동

ssm agent 관련 파일을 이동한다.
 
$ mkdir /etc/amazon
$ mkdir /etc/amazon/ssm
$ cp -r /snap/amazon-ssm-agent/current/* /etc/amazon/ssm/
 
 

3. SSM 에이전트 등록 정보 재등록

ssm agent 를 종료 후 기존 등록 정보를 클리어 한다.
 
$ sudo snap stop amazon-ssm-agent
$ /etc/amazon/ssm/amazon-ssm-agent  -register -clear
 
ssm 관련 명령어는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다.

ssm agent의 등록 정보를 입력한다. 해당 등록 정보에는 Activation ID,  Activation Code, AWS Region 정보가 필요한데 해당 정보는 아래의 가이드를 따라서 찾아볼 수 있다.

찾은 정보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보자.
 
$sudo /etc/amazon/ssm/amazon-ssm-agent -register -y -id '<Activation ID>' -code '<Activation Code>' -region '<AWS Region>'
 
명령어를 입력하면 등록이 성공적으로 됐다는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다.

 

4. 시스템 메니저(System Manager) 에서 등록 확인

ssm-agent를 실행하게 되면 AWS System Manager 플릿 관리자 화면에서 노드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노드는 1개의 서버를 의미하며 라이트세일은 mi-로 시작되는 ID를 갖는다.
 
$ sudo snap start amazon-ssm-agent
 
마지막으로 윈도우 cmd 터미널에서 aws ssm start-session --target 노드 ID 를 입력하면 리눅스 서버 터미널에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 링크

반응형

'DevOps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LightSail 서버에 mysql 외부 접속  (0) 2022.01.09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