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반동안 솔루션 엔지니어로 일하면서 고객 담당자와 개발자 사이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주로 진행했다. 과업의 대부분이 고객이 원하는 요건을 기술적으로 가능한지 개발자와 함께 검토하고 적용해주는 것이다. 사실 개발이 불가능 한 것 이 없으나 투입되는 비용, 시간, 인력을 고려하여 가능/불가능을 판단한다. 개발 공부도 꾸준하게 해온 나로서는 뭔가 스스로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많이 들 때가 있다. 그리고 내가 원하는 인공지능 개발을 위해서도 개발 경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안다. 마침 이전에 지원한 곳에서 다시 한번 좋은 자리가 생겨 오퍼가 들어왔다. JAVA, AWS 기술을 사용하여 대형 e커머스 플랫폼 개발 및 운영 대행하는 업무였다. 현재 하고 있는 솔루션 엔지니어보다는 훨씬 내가 하고 싶은 분야에 가..
드디어 나의 인생에 컴퓨터 관련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게 되었다. 2년 전 이맘 때 나는 IP에 대해서도 모르는 문돌이였다. 경영과를 지나 영문과를 졸업하고 운좋게 IT 회사에 입사하여 진로를 결정하였다. 하지만 이쪽 진로로 커리어를 쌓아가기 위해서는 IT 관련 전공이 필요했다. 이를 위해 2년간 클라우드, DB, 보안, 정보처리 등 가리지 않고 공부하였고 드디어 30대 초중반에 대학원에 입학할 수 있었다. 앞으로 더욱 힘들겠지만 그때마다 정신적으로 많이 고난했던 20대를 생각하며 버티자 홧팅!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nSKHJ/btq3XaEA24l/Ja7HFFfGY86J1hPnx8BnG0/img.png)
이전 포스팅에서 리눅스의 Pam을 사용하여 root계정 임계치 설정을 진행하였다. [Linux] SSH Brute Force 보안 - root 계정 원격 접속 차단 및 포트 변경 (CentOS7) 이전 포스팅에서 리눅스 CentOS7 기준으로 root의 계정을 찾기 위한 Brute Force를 진행하였다. 리눅스 Brute Force Attack 파이썬 구현 및 확인 Brute Force Attack 시스템을 해킹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여러가. techbrad.tistory.com 계정에 대한 임계치 설정과 더불어 IP를 통한 접근제어를 진행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TCP wrapper을 활용하면 서비스에 접근하는 IP를 설정할 수 있다. /etc/hosts.allow, /etc/hosts.deny..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Ma1a/btq0AqER4Du/wyaOcyzh8ARkjLVK58XKgK/img.png)
Apache 생성 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prefork, worker) 1. prefork – 자식 프로세스를 미리 준비해두는 방식 – 자식 프로세스는 최대 1024개 – 하나의 자식 프로세스당 1개의 스레드 연결 – 스레드간 메모리 공유를 하지 않아 독립적사용으로 안정적이나 메모리를 많이 사용함 2. worker – 프로세스당 여러개의 스레드 연결 – 스레드간 메모리를 공유하여 메모리 사용량이 비교적 적음 – 통신량이 많은 서버에 적합 2-1 event – 아파치 2.4.x 버전부터 생성된 방식 – worker 방식을 기반으로 함 – keepalive 시에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기다리고 있는 자식 프로세스 또는 자식 스레드 전체를 keep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리스닝 소켓..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fr1xj/btqYfW63rj5/05iADvq7LyicuNJH53reNK/img.png)
vmstat 는 리눅스의 프로세스, 메모리, 페이징, I/O 블럭, CPU 활동 사항들의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합니다. 엔지니어링을 하면서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하는 요청들이 왔을 때 서버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할 때 사용합니다. procs r(run queue)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cpu 자원을 기다리는 프로세스 수) CPU의 처리가 어느정도 인지 추적할 수 있음 b(block queue) io 자원을 할당받지 못해 블록된 프로세스 수 b의 수치가 높은 경우 i/o 작업을 위해 cpu가 계속 대기 상태로 있다는 뜻이므로 디스크의 i/o 문제를 확인해야한다. memory(KB) swpd 현재 메모리가 부족하여 swap을 사용하고 있는 양을 의미한다. 이 값이 높아도 free에 많은 메모리의 여유가 있..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g1VNv/btqVZR8SA4u/E5yw7VoTXUDaB3mUrOS2Hk/img.png)
스칼라 쿼리는 한번에 1행씩 반환. 값이 없을 때는 Null을 반환한다. 동작 원리 1. 메인쿼리 수행 후 반환된 한줄의 값을 출력값으로 메모리에 적재한다. 2. 출력값을 스칼라쿼리에 입력하여 나온 결과를 매모리 내의 query execution cache에 해시화하여 저장한다. 3. 메인쿼리에 반환된 다음줄의 출력값이 서브쿼리로 들어오면 해시한수를 이용해 캐시에서 찾아 출력한다. 4. 캐시에 없으면 다시 서브쿼리의 테이블로 가서 데이터를 찾아 query execution cache에 저장한다. 5. 메인 쿼리가 끝날때 까지 반복한다. 스칼라쿼리 1. 스칼라쿼리는 조인되는 컬럼이 유니크할때만 가능하다. Select emp.uid, emp.uname, (select dname from dept where ..
- Total
- Today
- Yesterday
- llm
- 프로그래머스
- java
- 코딩테스트
- LangChain
- 보안기사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정보보안기사
- 보안
- 리눅스
- linux
- 카카오페이면접후기
- t검정
- Python
- t-test
- 시간초과
- 딥러닝
- 백준
- 자료구조
- 분산시스템
- 그리디
- synflooding
- Ai
- FastAPI
- 파이썬
- lightsail
- 정보보안
- 카카오페이
- 우선순위큐
- springboo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