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수란? 함수란 단위 기능별로 구현을 한 도구라고 정의하고 싶다. 즉, 필요할때 하나씩 빼서 사용하는 함수이다. 이미 파이썬 내에 내장된 도구(함수) 또는 사용자가 직접 만들어서 쓰는 도구(함수)도 있다. ##이미 구현된 함수 (length, sum) a = [1,2,3,4] length = len(a) print(length) summation = sum(a) print(summation) ##사용자 정의 함수 def add(x, y): n = x + y return n ## return은 add함수의 출력 값이다. add(10, 100) ##return의 값은 110이 나오게 된다. ● 파라미터 (고정된 입력값) 파라미터는 함수에 입력할 값들이다. # 기본 파라미터 def add(x, y): ##..

●클래스와 객체의 개념 파이썬에서의 클래스란 하나의 함수를 통해 다양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아래의 코드 처럼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add 함수를 사용하여 중복된 값을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add2를 추가하여 사용해야한다. 또한 result라는 변수를 항상 선언해줘야한다. result = 0 def add(num): global result result += num return result result = 0 def add2(num): global result result += num return result 클래스와 메소드, 객체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공통적인 이력서 탬플릿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클래스의 개념이 없다면 한사람마다 하나씩 이력서를 만들어야해서..
- Total
- Today
- Yesterday
- t-test
- LangChain
- 카카오페이면접후기
- Python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파이썬
- 자료구조
- t검정
- 프로그래머스
- 딥러닝
- java
- 시간초과
- linux
- 카카오페이
- 보안
- 우선순위큐
- Ai
- llm
- 분산시스템
- 리눅스
- 정보보안
- 정보보안기사
- FastAPI
- 보안기사
- springboot
- 그리디
- lightsail
- 백준
- 코딩테스트
- synflooding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