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으로 네트워크 소켓 프로그래밍을 하던 도중 Error argument after * must be an iterable 오류가 발생하였다. 에러 문구 Python Threading module Error argument after * must be an iterable 문제 발생 코드 client = threading.Thread(target=modifythreshold, args=(conn)) threading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args 파라미터는 iterable 해야한다. args=(conn)) 이부분을 args=(conn,)) 쉼표 하나 붙여주면 해당 에러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자연어처리에서 텍스트를 토크나이징 하여 리스트 형식의 input_ids 를 numpy 배열 형태로 변경하는 코드에서 이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였다. 에러 문구 ValueError: setting an array element with a sequence. The requested array has an inhomogeneous shape after 1 dimensions 문제 발생 코드 input_ids = np.array(input_ids, dtype=int) 이러한 문제는 배열의 요소들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 같다. 예를 들어 [[0,0], [0,0,0], [0,0]] 이렇게 2차원 배열에서 1차원 배열들의 길이가 달라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0,0], [0,0], [0,0]] 이렇게..
31살에 솔루션 엔지니어로 시작해서 새로운 회사로 이직하며 개발자로 이직하였다. 늦은 나이에 엔지니어에서 개발자로 전향할 수 있는지 처음에는 많이 불안했다. 항상 '엔지니어에서 개발자로 전향' 이라는 키워드로 구글링 해봐도 관련된 글을 찾아볼 수 없었다. 주변 개발자나 엔지니어 분들에게도 물어봐도 개발자에서 엔지니어 전향은 있어도 엔지니어에서 개발자 전향은 없었다. 나와 같은 고민은 갖고 있는 사람들이 분명 있을 것이고 성공했다는 사실을 전달하여 조금이라도 그런 사람들에게 힘이 되고 싶다. 분명 주변에서 엔지니어 출신은 개발자로 전향할 수 없다라는 말을 많이 들을 것이다. 나 또한 이 쪽 업종에 경력이 많으신 40, 50대 분들이 엔지니어 기술력을 살려 영업으로 보통 전향한다' 라고 들었다. 하지만 '간..
버블 정렬이란? 차례대로 인접한 두개의 숫자를 비교하여 앞의 숫자가 뒤의 숫자보다 크면 두 숫자의 자리를 바꿔주는 정렬 버블 정렬 코드 (Python) def bubblesort(data): for turn in range(len(data) - 1): #전체 데이터 길이의 -1 만큼의 턴을 돈다 swap = False # swap이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발생하지 않으면 정렬리 됐다고 가정하고 break를 한다. for index2 in range(len(data) - turn -1): #1번째 턴 후 맨 마지막에 가장 큰 수가 위치하고 2번째 턴 후 마지막 두개의 숫자가 정렬되기 때문에 turn 수를 비교 횟수에서 빼서 최종 비교 횟수를 줄인다. if data[index2] > data[index2 +1..
- Total
- Today
- Yesterday
- 분산시스템
- Python
- lightsail
- 리눅스
- springboot
- 시간초과
- Ai
- 카카오페이
- 코딩테스트
- 딥러닝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FastAPI
- llm
- huggingface
- t-test
- 정보보안
- 백준
- 프로그래머스
- 정보보안기사
- java
- LangChain
- synflooding
- linux
- 카카오페이면접후기
- 파이썬
- 우선순위큐
- 보안기사
- 그리디
- 자료구조
- 보안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